Artist Statement
Here’s to Our Glass Hearts (2023~)
One of the most terrifying aspects of capitalism is that it removes our ability to imagine the realm outside of capitalism. Such a cunning and powerful oppression makes us unaware of its grasp on us. That is why Seoul City’s new slogan ‘Seoul, My Soul’ feels strikingly bizarre, for it contains unsolvable duality in one phrase.
Seoul is extremely polarized in every aspect. Myriads of statistics on birth, gender disharmony, the right and left, poverty, suicide, population density, economic cap indicate that we are bearing formidable pressures. We are witnessing our collective dream, the neoliberal dream, veering towards its downfall. And Seoul has become a melting pot that collects all the conflicting norms like intellect and superstition, the old and new, the right and left, the real and surreal.
So, here we are, enduring the hellish commute, caring for loved ones, participating in protests, leaning onto religions, frowning at the stench of sewer fumes, investing, making celebrities as our role models, praying for people who died in vain, saying that the living must live on, consulting with fortuneteller, numbing our minds and emotions with social media.
And there’s also a symmetrical city within each people. It is built with the faces of people we care about, courages, happiest memories, our deepest insecurities, ghosts of the past, false beliefs, life and death, the most desperate wishes, and despair. These all get mixed up inside us, sometimes seamlessly, forming the places where our pristine souls can indwell and peek out at the outer world.
It is these two cities that <Here’s to Our Glass Hearts> seeks to explore. Seoul where people actually live and another Seoul that reside in our hearts. How are they related? What is seeing and what is believing? What is it like to have a soul, in a highly polarized and capital-friendly city like Seoul?
To fully depict the internal city and the external city, <Here’s to Our Glass Hearts> adopts conflicting approaches: the documentarian & fictional and realistic & surrealistic. Also, individual photographs were taken and collected as if they are omens that foretell the future lying before the city and its people. Rather than comprising the series with representative images of Seoul, I’ve collected the most ordinary objects and moments, for they are the most democratic depictions of what’s essential in the city.
아티스트 스테이트먼트
우리의 유리 심장을 위하여 (2023~)
자본주의의 가장 무서운 점은 그것의 바깥을 상상하는 우리 능력을 앗아간다는 데에 있다. 그러한 억압은 교묘하고도 강력하다. 그 대상이 억압당하는 줄도 모르게 만들기 때문이다. 이때 서울시의 슬로건 ‘Seoul, My Soul’은 몹시도 상이한 두 가치가 하나로 묶였다는 점에서 기묘하게 다가온다.
서울은 실제로 모든 방면에서 첨예하게 양극화된 도시다. 출산율, 젠더 갈등, 좌우 분열, 빈곤율, 자살률, 경제적 격차 등 숱한 통계 자료들은 우리가 어떠한 하중 아래에 놓여있는지를 알려주고 있다. 우리는 우리가 공유하는 꿈, 신자유주의적 꿈이 몰락을 향해 치닫는 모습을 목격하고 있는 것이다. 이때 서울은 상이한 두 항, 즉 지성과 미신, 인간의 외부와 내면, 옛것과 새것, 유심론과 유물론, 좌파와 우파, 혹은 현실과 초현실 등이 한데로 섞이는 용광로와 다를 바 없다.
그런 서울에서 우리가 잘 살아가기 위해 하는 일들이란: 지옥철 견디기, 사랑하는 사람들을 걱정하기, 시위에 나가거나 나가지 않기, 종교에 기대기, 하수구 수증기의 악취에 인상 찌푸리기, 재테크하기, 유명인을 삶의 모델로 삼기, 애꿎게 죽은 사람들을 위해 기도하기, 산 사람은 살아야 한다고 말하기, 점쟁이 찾아가기, 정신과 감정을 SNS로 마취시키기.
그러나 우리의 내면에 역시 이러한 서울과 대칭적인 도시가 놓여있다면 어떨까. 그 도시는 우리가 아끼는 이들의 얼굴로, 많은 순간에 낸 용기로, 행복한 기억으로, 가장 깊은 상처로, 과거의 유령으로, 헛된 믿음으로, 삶과 죽음으로, 간절한 소망과 절망으로 지어져 있다. 이 내면적 도시를 구성하는 낱낱의 요소들은 우리 속에 모여들어, 투명한 영혼이 기거하며 바깥 세상을 엿볼 수 있는 장소를 만들어낸다.
<우리의 유리 심장을 위한 건배>가 탐구하고자 하는 것이 바로 이러한 두 도시다. 사람들이 실제로 발 디딘 채 살아가는 서울과, 사람들의 내면에만 존재하는 서울. 그 두 서울의 관계는 무엇인가? 보는 것은 무엇이고 믿는 것은 무엇인가? 이렇게나 고도로 자본 친화적이고 분열된 도시 서울에서 우리 모두에게 영혼이 있다는 사실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내면적 도시와 외부적 도시를 온전히 그려내기 위해, <우리의 유리 심장을 위한 건배>는 상반되는 작업 방식을 취하고 있다. 다큐멘터리와 픽션, 현실주의와 초현실주의에 입각한 접근법이 바로 그것이다. 이 시리즈를 구성하는 사진들은 이 도시와 그 시민들의 앞날을 예고하는 징조를 모으듯 선별되었다. 서울을 대표하는 이미지 보다는 가장 평범한 이미지가 주를 이루고 있다. 그것이 이 도시의 정수를 가장 민주적인 방식으로 그리는 방식이기 때문에.